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현대 고려인 민속문화의가 형성되어 온 과정을 설명하고 민속문화를 유지하는 체계와 구조를 음식상을 통해서 파악하며, 그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자 한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이주․정착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고려인들은 1860년대 초반에 조선에서 러시아로 처음 이주해 갔고, 1910년대까지 약 10만 명 정도가 러시아 연해주를 중심으로 살았다. 소련이 성립된 이후에 고려인들은 집단화 정책 등에 적응하면서 생활하다가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게 되었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이후에는 연해주와 달리 광대한 중앙아시아 전역에 산재하여 거주하게 되었다. 공동으로 생활하는 집단의 규모가 적어지게 되어서 민속문화에도 일정한 변화가 생겼다. 1950년대 후반에 거주제한이 풀림에 따라 도시로 이주하거나, 중앙아시아 내의 여러 국가 사이에서 이동하며 살았다. 1990년대 초반 소련이 붕괴되었고 고려인들은 소련시민에서 중앙아시아 각 국가의 국민이 되어 각 국가의 소수민족으로 살고 있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면서 그 이전에 유지해 온 기본 체계에 큰 변화가 생겼고, 소련의 민족정책과 민속정책에 의해서 봉건적이라고 낙인찍힌 여러 민속문화는 소멸되었고, 남은 민속문화도 형식만 남은 경우가 많았다. 형식은 민족적이고 내용은 사회주의적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해 온 이후에 고려인 민속문화에서 핵심을 이룬 것은 일생의례와 조상숭배와 관련된 세시의례, 조상제사 등이었다. 이는 넓은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 내혼을 유지하고 친인척 사이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관계로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인들의 일생의례는 음식상으로 상징화되는데, 돌상과 혼례상, 환갑상, 제사상으로 구성된다. 돌상과 혼례상은 부모가 자식에게 차려줄 의무가 있고, 환갑상은 자식이 부모에게 차려주어야 한다. 제사상은 후손이 조상에게 차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음식상은 음식상 위에 올라가는 음식들의 체계와 구조를 통해 상징적으로 유지되며,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일생의례 음식상으로 상징되는 민속문화는 고려인들의 민족 경계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지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folk culture among ‘Koryoin’ in Central Asian countries and analyzes the system and structure of folk culture focusing on the food table.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lk culture theory. The formation of the ‘Koryoin’ folk culture in Central Asia under the USSR’s national policies will also be explained. The folk culture of ‘Koryoin’ was formed from the late thirties in Central Asia. The Koreans in the far eastern region of the USSR lived with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After deportation, things got worse for maintaining folk culture. They lived in the many scattered Kolkhozes in the vast Central Asia region. In these circumstances, folk culture has changed. The USSR had national policies to oppress the feudal culture and forbi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rituals. The modern folk culure of Koryoin formed from the oppression from the thirties to the seventies. The daily rituals and ancestor worship rituals have survived and the basic systems of foods have continued till now, because they can support the maintenance of the boundaries of the ‘Koryoin’ nation. The traditional folk cultures of Koryoin help identity intensification. ‘Dolsang’, a food table laid in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and a table for wedding banquets, ‘Hwangabsang’, a food table for those celebrating their sixtieth birthday form a system of food tables. This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lk cultre of ‘Koryoin’ in Central Asia. For the ‘Koryoin’ these food tables must be served if possible. They come to Southkorea to get the money for the food tabl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Parents have to serve up a ‘Dolsang’ and a table for weddings, on the condition that children have to serve a ‘Hwangabsang’. Parents and children maintain a relationship of recipro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