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18년 학계에 알려진 삼척 안정사 땅설법 중 하나인 <안락국태자경> 땅설법을 대상으로 한다. 땅설법은 불교 속강, 강창이다. 일반적인 스님의 법문과 달리 일반 속인(俗人), 민중들의 눈높이에맞추어서 쉽게 설법하기 위한 방식이다. 그래서 소리(唱), 말(講), 연희(演)를 활용한다. 땅설법의 구비경전(레퍼토리)는 10여 종 이상인데 이중 본고에서는 <안락국태자경>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락국태자경>은 현재까지는 한국에서만 존재하는 경전이다. 뺷월인석보뺸에 그 최초기록이 있으며, 그외 다양한 문헌기록이 존재한다 또한 일본 청산문고에는 임진왜란 이후 유출된 것으로 보이는 ‘안락국태자경변상도(사라수왕탱)’이 소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는 <안락국태자경>이라는 경전을 문헌, 회화, 연행(땅설법)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땅설법은 연행(performance)이 있기에 판의상황, 현장성과 주연행자인 법주의 역량에 다기한 변주가 가능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다소 문헌과 회화로는 고정되어 있는 의미와 표현이 땅설법에서는 얼마나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실제 불교신행의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covers <Anlaggugtaejagyeong> TTangseolbeob, one of the TTangseolbeobs of Samcheok Anjeongsa temple which was known to the academic field in 2018. TTangseolbeob is a Buddhist Sokgang, Kang Chang. Unlike teachings of ordinary monks, it is a way of preach that delivers its message at the eye level of ordinary people. It uses sound (唱), speech (講), and play (演). There are more than 10 oral scriptures (repertoire) of TTangseolbeob. This paper subjects the <Anlaggugtaejagyeong> among them. <Anlaggugtaejagyeong> is the scripture that exists only in Korea. The earliest record is found in <<Wolinseokbo>>, and various other documentary records exist. In addition, the ‘Annakguk Crown Prince Gyeongbyeonsangdo (Sarasuwangtang)’ is stored in the Cheongsan Library of Japan.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how the scriptures <Anlaggugtaejagyeong> are expressed in literature, paintings, and TTangseolbeob. Above all, this paper explicitly describe that since the TTangseolbeop is a performance, there can b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stage, on-the-spot performance, and the ability of Beopju, the leading 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