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형성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지역 환경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면서 경남 사회적경제의 특수성을 함께 밝혀보고자 했다. 전국적으로 본다면 지역의 제조업 의존도가 낮을수록,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지자체의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인구 대비 사업체 수와 시민단체 수가 많을수록 지역 인구 대비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더 많이 설립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남은 타 지역에 비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설립, 유지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약할 뿐더러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네트워크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지 못한 데 큰 이유가 있다. 경남의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을 수행할 유인이 부족했기에 지자체와의 연계 이외에 다른 조직들과의 연대와 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약한 네트워크와 낮은 성과라는 악순환을 깨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에 의한 기금 조성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ocal network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SEOs), mainly focusing on the low performance of SEOs in Gyeongsangnamdo. The analysis of national data shows that the more civic groups and enterprises exist, the higher the number of SEOs per capita. It means that a more complex local network enhances the performance of SEOs. A weak social economy network has forced SEOs to depend on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other sectors for survival in Gyeongsangnamdo. It was the leading cause of the relatively subpar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of SEOs that the practice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has been rare in that province. Enlarged local governance consisting of more interest groups is necessary to take root social economy in the loc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