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성소수자의 엄마들이 자녀의 커밍아웃 이후 성소수자부모모임에 참여하고, 성소수자 인권 활동가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엄마들이 성, 가족, 모성에 대한 관념을 재정의하며 ‘성소수자 엄마 활동가’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비성소수자로서 살아온 엄마들에게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깨달음은 ‘엄마’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다. 이 시기 엄마들이 겪는 혼란과 고통, 죄책감은 성별이분법과 규범적 이성애에 기반한 ‘정상가족’ 모델, 유자녀 여성에게 부여되는 주도적인 성역할과 관련이 있다. 정상성에서 이탈한 듯 보이는 자녀의 모습은 생애각본의 부재에 대한 공포감과 실패한 모성에 대한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며, 정상성에 대한 집착으로 자녀와 충돌을 일으키기도 한다. 부모모임에서 참여한 엄마들은 다른 부모와 젊은 성소수자와의 대화를 통해, 이전에 의문없이 수용했던 젠더, 섹슈얼리티, 가족규범에 대해 재해석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퀴어문화축제에서 반동성애 폭력을 목격하면서, 성소수자의 고통이 가진 사회적 성격을 깨닫고, ‘내 자녀의 엄마’를 넘어선 ‘성소수자 엄마 활동가’로서 인권활동에 적극적으로참여하게 된다. 대외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 인식변화를 촉구할 때에는 ‘성소수자의 엄마’라는 상징성을 전면에 내세우지만, 한편으로 인권, 소수자문제에 대한 포괄적 관심과 사회변혁의지를 통해 ‘엄마’과 별개인 ‘활동가’라는 개별적인 정체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변화한 엄마들은 자녀의 커밍아웃을 자신을 더 넓은 세계로 이끌고 성장하게 하는 초대장으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자신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떤 엄마들에게 ‘자녀의 죽음의 가능성’은 지속되는 위협이자 공포이다. 이것은 사회 다방면에서 배제와 차별을 통한 퀴어 죽음정치가 공고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거하며, 가족 내부의 이해와 노력으로 해결되지 않는 성소수자와 가족의 고통의 사회적인 성격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논의를 요구한다.


This study ethnographically examines experiences of mothers of LGBTQ+ children who are active in PFLAG Korea (Parents and Friends of LGBTAIQ People in Korea) and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y question and redefine dominant notions of sexuality and gender, family, and motherhood, and expand their identity as "mom-activists." The realization that their children are queer profoundly challenges mothers who have never questioned the society’s heteronormativity and gender binary. I argue that the initial shock and fear which the mothers experience is connected to not only the normative models of gender, sexuality, and family, but also the pressure of ideal motherhood, in which children’s success or failure is closely tied to that of their mothers: children’s deviation from the normative gender and sexuality means their mother’s failure. However, through participation in PFLAG Korea, they are encouraged to question and revise their previous beliefs on sexuality and gender, family, and motherhood through engagement with other parents and LGBTQ+ individuals. As they realize their own suffering and that of their children are not just personal, but social sufferings caused by the hostility of the society, they assume the identity of “mom-activist” whose motherhood extends beyond their own children and family towards all LGBTQ individuals. Some mothers cannot completely escape from the risk and fear of their children’s possible death, even after they have wholeheartedly accepted their children’s difference and actively engage in LGBTQ+ activism; it indicates the powerful pervasive operation of queer necropolitics and the social nature of the suffering of LGBTQ+ people and their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