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 중 인지장애를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관리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의 65세 이상 노인 74,231명을 대상으로 정상군, 일상생활가능 인지장애 경험군, 일상생활장애 인지장애 경험군으로 분류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상태, 건강관리 행태별 차이를 분석하고, 인지장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장애 인지장애 경험에 관련된 요인으로 여성(OR=1.12), 나이가 많을수록(OR=1.07), 동지역 거주(OR=1.04),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경우(OR=3.20), 우울 증상이 있는 경우(OR=3.13),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OR=1.42)에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고등교육(OR=0.81), 가구균등화소득 5분위(OR=0.91), 경제활동자(OR=0.73), 유배우자(OR=0.78), 독거자(OR=0.83), 삶의 만족도 지수가 높을수록(OR=0.84)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인지장애 경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 및 건강상태, 건강관리 행태는 정상군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론: 여성, 높은 연령, 낮은 교육수준과 소득수준, 낮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우울증상과 스트레스가 있는 인지장애 경험자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등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nd analyze the health care behaviors of elder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ve experience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is study classified 74,231 elders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into normal group, cognitive impairment experience group capable of performing daily living, and cognitive impairment experience group with poor daily life performa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behavior,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ith poor daily life performance showed increasing experience(p<.01) with women(OR=1.12), increasing age(OR=1.07), urban residence(OR=1.04), poor subjective health level(OR=3.20), depressive symptoms(OR=3.13), and stress(OR=1.42). The experience decreased(p<.01) with higher education(OR=0.81), fifth quintile of equivalized household income (OR=0.91), economic activity(OR=0.73), spouse(OR=0.78), living alone(OR=0.83), and high life satisfaction index(OR=0.84).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behavior of those who experienced cognitive impairment were worse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p<.01). Conclusions: Policy support is needed, such as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women, the elderly, low education, low-income levels, poor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those who experience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ful cognitive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