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disorders and depression. In the process that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outside of school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year survey of out-of-school youth panel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or data analysis, the cor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l of the major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social stigma of out-of-school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disorders and depression, confirming a double medi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in which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disorder and depression were respectively mediated, but social stigma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interven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youth coaching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