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해체하고 관객과 소통하며 관객의 지위를 새롭게 하는 과정연극은 기존연극이 추구하는 작품의 완성이 아니라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연극에서 관객의 위상과 개념 변화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관객이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신하는 과정연극의 예로, 토론극장,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사이코드라마와 연극치료를 들 수 있다. 토론연극에서는 관객이 공연 중에 스톱을 외치며 끼어들 수 있고 무대 밖에서 관찰자가 되기도 한다. 즉흥극인 재생연극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로 만들어지는 과정연극이다. 과정드라마에서 관객은 진정한 참여자, 공모자 나아가 공동 창작자가 된다. 자발성이 충만한 사이코드라마의 관객은 주인공 또는 보조자아가 되어 무대의 연기자로 변신한다. 사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관객은 장면 만들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역할을 통해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과 직면한다. 연극치료에서 창조적 연극, 발달변형모델은 관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이처럼 생성과 변화라는 시대적 이념을 바탕으로 즉흥성과 우연성, 집단창작을 통해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연극은 관객-참여자에게 자발성과 창조성을 북돋움으로써 연기하는 관객이 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자각, 발견, 변화, 치료에 이르도록 한다.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Postdramatic theatre is based on the dissolution of drama text and drama theater structure, inheriting avant-garde and rejecting drama theatre. Absence of dramatic text, deviation from hierarchy, mixing, direct manifestation and energy of the body are the core of postdramatic theatre. In this definition, we want to focus on ‘a theatre respecting the process’ namely ‘process theatre’. A theat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on the same location and refreshes the audience's status can be called a theatre of a process. This study seeks to specifically explor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the audience and the concept of the audience in a process theatre. As an example of a process theatre that encourages the audience to act, it can present forum theatre, playback theatre, process drama, psychodrama, drama therapy that can be stopped at any time during a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