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공공성(公共性)’이라는 용어는 학문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삶 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 용어의 개념적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것은 개념적・이론적 근거 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한 철학적 작업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사단 칠정론을 분석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공공성 개념을 위한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자 한다. 특히 그가 사단과 칠정이라는 감정을 이해하는 독특한 방식인 ‘공(公)’과 ‘공(共)’의 논리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성의 의미를 규정해보고자 한다. 이익의 사 단칠정론을 살펴보기에 앞서 공공성에 관련된 동・서양의 주요 철학적 담론을 살펴 본다. 동양의 공사론은 이익의 사단칠정론에 등장하는 공사론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서양의 공사론과 공공성에 관한 논의는 현재 우리 사회의 공공성 개 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장에서는 공공성의 개념화를 위 한 대안적인 담론으로서 이익의 사단칠정론을 살펴본다. 특히, 이성/감정, 공/사의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선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윤리(倫理)와 감정(感情), 공정(公 正)과 공감(共感)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공공성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철학 담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oday, the term ‘publicity’ is used not only in the realm of academia but also in the realm of everyday life.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ceptual agreement on the term. What is needed in this situation is a philosophical undertaking to provide a firm conceptual and theoretical basis. Thu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the concept of publicity in modern society by analyzing Seongho Yi Ik’s theory of the Four Sprouts and Seven Emotion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define the meaning of publicity based on the logic of ‘justice’ and ‘empathy’, a unique way for him to understand the Four-Seven. This study will look at the major philosophical discourses of the East and the West relating to publicity before looking at Seongho Yi Ik’s theory of the Four-Seven. The theory of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the East can be said to be the basis of the public- private distinction in Seongho Yi Ik’s theory of the Four-Seven. The theory of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publicity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discussions of publicity in our society. In the following chapter, I will look at Seongho Yi Ik’s theory of the Four-Seven as an alternative discourse on existing philosophical discussions in a situation where publicity is still not clearly conceptualized. In particular, I will present a new philosophical framework to understand publicity, focusing on some keywords: ethics and emotion, justice and empathy,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beyond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reason/emotion and public/priv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