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르웨이에 재정착한 미얀마 카렌족 난민을 사례로 삼아 재정착 난민의 통합과 모빌리티를 다룬다. 복지국가로 알려져 있는 노르웨이는 난민들이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여 자립하는 것을 목표로 재정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고용은 복지국가를 지탱하는 수단이므로 국가 차원에서 고용률을 높이려는 시도를 다각적으로 전개한다. 국가는 자립한 난민은 성공 사례로, 그렇지 않은 난민은 문제 사례로 취급한다. 본 연구는 국가의 시선을 극복하며 재정착 난민의 통합이 일국 차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빌리티의 회복과 강화에 힘입어 초국적 장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드러낸다. 노르웨이 등 유럽에 재정착 카렌족은 모빌리티를 실천하며 유럽이라는 공간을 사회생활의 장으로 삼고, 호혜성에 바탕을 둔 네트워크 자본을 활용하여 국가가 훈육하고 관리하는 노동참여 중심의 통합을 넘어서는, 또 다른 경로의 통합을 이루어나고 있음을 본 연구는 밝힌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egration and mobility of resettled refugees by taking Karen refugees from Myanmar having moved to Norway as an example. Norway, known as a welfare state, operates resettlement programs aimed at promoting refugee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self-reliance as a result. Since employment is a means of supporting the welfare state, various attempts are made at the national level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The state treats refugees who are self-reliant as a success, and refugees who are not as a problem. This study overcomes seeing like a state and reveals that the integration of resettled refugees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country but takes place in transnational fields thanks to the recovery and strengthening of mobility. This study argues that Karen refugees in Norway and other parts of Europe have been developing another path of integration, practicing mobility, using Europe as their social space, and exploiting network capital based on reciprocity, which goes beyond the labor-centered integration that the state disciplines and man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