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난 10년(2011-2020)의 한국 교육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교육철학계를 대표하는 3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897편을 귀납적 방법과 다중코딩의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기간 한국의 교육철학계는 전통적으로 교육철학의 연구과제로 인식되어 온 교육의 본질과 토대에 대한 탐구를 균형 있게 지속하였다. 이에 더하여 교수・학습 및 교육의 과정 전반으로 관심을 확장하였으며, 동시에 교육이 발생하는 공간과 기관에 대하여도 연구의 관심을 구체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교육철학계의 두드러진 특징인 인물・사상가 연구는 여전히 대단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중 유럽의 인물・사상가 연구 및 듀이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시에 아시아・한국의 인물・사상가 연구도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해당 기간에는 가치・윤리교육, 전인・인격・인성・개성교육, 세계시민교육, 인문・교양교육, 자유교육, 심미・예술교육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초중등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넷째, 특정 지역・시대・종교 영역에서는 한국・일제강점기・유교에 대한 연구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안과 관련된 교육의 제도・정책・정치 및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빈도로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897 articles published in three major journals in this field from 2011 to 2020 using the method of inductive categorization and multiple coding. The research tre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have shown their persistent and balanced enthusiasm for foundat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ducation, educational relationship, human and structur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it, they have extended their research to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namely teaching-learn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field/institution of education. Second, study on thinker, the predominant feature of research in Kore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last decade. Modern-European thinkers and J. Dewey we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this category. Third, studies on value and morality, personality and whole person, civil and general education, liberal and aesthetic education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education were reported frequently. Fourth, in terms of specific region, period and religion, the researchers showed high interest for Korea,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nfucianism. Lastly, it is proven that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were not immersed in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and self reflection, but they expressed keen interests for educational system, law and politic, contemporary social issues which can influence on education and can be influenced b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