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 대유행은 k- 방역에 대한 상찬과 별개로 현재진행형의 고통을 낳고 있다.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 고통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방역의 부담 속에서 어떻게 한 사회와 그 구성원을 돌볼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야기한다. 본 글은 감염병 대유행에 대한 시민 윤리의 일종으로서 돌봄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리고 감염병 재난의 인문학적 탐구의 일종으로 사회문화적 성찰과 이해가 돌봄과 연결될 수 있을지 살펴 본다. 감염병의 사회성과 문화성을 성찰하는 것은 집단적 서사를 복원하고 공동체 구성원의 돌봄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공통된 경험의 차원에서 감염병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질병과 재난으로부터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 감염병의 사회성과 문화성을 탐색하는 것은 시대별, 사회별 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고찰하는 방법, 그리고 현재 코로나 대유행 속의 정동과 담론을 고찰하는 방법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감염병의 사회성 문화성 탐색의 주요한 주제로서 질병 낙인을 고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인과 혐오의 정동적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코로나 대유행 속 구성원들의 돌봄 방향에 필요한 성찰적 지혜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Apart from the praise for “k-quarantine”, many people suffer from the COVID-19 pandemic. Plenty of issues are raised in taking care of people and the community and dealing with fear and pain under the burden of quarantine.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aring as civic ethics in epidemics. Also, for humanistic response to disasters, we examine whether socio-cultural exploration and reflection can be associated with caring. Reflecting o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epidemics can restore collective narratives and expand caring for community members.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 recovery by allowing them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epidemics as shared ones. Exploring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infectious diseases can be twofold; one is tracing the perception of diseases and their victims in terms of time and locality; the other is examining the affection and discourse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the stigma of diseases can be an important topic in exploring the issues of infectious diseases. By examining the affective flow of stigma and hatred, powerful hindsight will be obtained for the direction of care during pande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