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재일제주인 작가 김태생의 「뼛조각(骨片)」에 나타난 재일제주인의 삶의 공간과 아버지상(アボジの像)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뼛조각」에 나오는 재일제주인의 삶의 공간은 작가의 개인적 경험으로만 갇혀있는 장소가 아니라 집단 즉 재일제주인의 인식과 정체성의 관계에 놓인 영역이다. 차별과 멸시로 인해 일본 사회와의 관계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재일제주인들은 일단 ‘중심부’로부터 소외된 ‘주변부’를 선택함으로써 스스로 공간적 소외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확보했다. 하지만 이 공간은 ‘일본’이라는 사회 속에서 ‘제주’를 이질성 없이 수용되는 곳이지만, 이질성을 토대로 일본 사회, 재일 사회 속에 편입하는 아이러니를 내포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전위된 공격으로 식민지적 신경증을 보인다. 이는 일본 사회에서 식민지적 신경증을 앓은 재일제주인 남성이 타자화된 위치에서 사회, 가정 등 그 어떤 곳에서도 적응하지 못하고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아버지는 재일제주인의 남성, 아버지를 그대로 표상하고 있으므로 그 경멸은 안타까움으로 변하게 된다. 그 인식의 변화는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배신과 버림이,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거부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죽음을 통해 이해하고, 아버지와 동질감을 느끼며 재일제주인의 존재 자체로 인정하게 된 것이다. 결국 「뼛조각」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가족의 삶을 불행하게 만든 가해자이자 역사적 피해자인 이중적인 존재로, 일본 사회와 마주하는 재일제주인의 모습이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ife space and image of father’ in 「Bone Fragment」 by Kim Tae-saeng, a Jeju Island local and expatriate in Japan. First, the space of a Jeju islander living in Japan presented in 「Bone Fragment」 is not a place confined solely to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 but is a realm existing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and identity of a group, that is, the Jeju population living in Japan. They were unable to secure a relationship with Japanese society due to discrimination and contempt, and thus instead chose to ensure their existence through spatial alienation by selecting the ‘periphery’ that was alienated from the ‘center’. While it is a place where ‘Jeju’ is accepted without heterogeneity in the society of ‘Japan’, it also implies the irony of incorporating ‘Jeju’ into Japanese society and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based on the heterogeneity. The father who appears in the plot shows colonial neurosis with a displaced attack. This is a depiction of a Jeju expatriate in Japan suffering from colonial neurosis in Japanese society, living in a detached position, unable to adapt himself to anywhere, including the society and home. However, the author’s contempt for the father turns into sympathy and sadness as the father epitomizes a male Jeju expatriate in Japan. The perception was expressed first as hatred and rejection of the father stemming from a sense of betrayal and abandonment due to the father’s absence, but then shifted to understanding and sympathy. Upon his father's death, he came to understand him, feeling a sense of unity with his father, and ultimately recognized his existence as a Jeju expatriate living in Japan. In the end, the father’ character in 「Bone Fragment」 is a double-sided existence who is both a villain who made his family’s life miserable and a victim of history. It was the very image of the Jeju people in Japan facing Japanes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