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의 개별 매개효과와 이중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이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4차조사 자료에서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1,609명을 분석하고, 연구가설 및 효과분석을 위해 SPSS 24.0 프로그램 및 SPSS Macro Process v.3.5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에 의해서 삶의 만족도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중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 → 자기효능감 → 직업능력 → 삶의 만족도라는 구체적인 인과적 경로가 확인되었고, 9개의연구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시사점: 본 연구에서 파악한 각 단계별 제언을 하면 첫째,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서 이들의 고용의 질, 자기효능감, 직업능력 수준을 높일 수 있는지원과 개입이 필요하고, 둘째, 주관적 요소인 자기효능감과 객관적 요건인 직업능력이라는 인과적인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접근과 통합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임금근로자 중 무배우자이거나 학력이 낮고, 연령이 많은 장애인과 여성, 중증장애인의 고용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employment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propose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verification of individu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ability. Method: 1,609 people who responded to all major variables in the second wave and fourth survey data of the 2019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PSS 24.0 program and SPSS Macro Process v.3.5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y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ability. That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ability. Eventually,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dual mediating effects, a specific causal path was identified and all nine research hypotheses were supported : the quality of employment → self-efficacy → occupational ability → satisfaction with life. Implications: Policy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each stage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y need support and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employment,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abilities. Second, specific approaches and integrated support services are needed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elf-efficacy and objective occupational ability. Third,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women, and severely disabled, who are spouseless or have low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