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종사하는 직업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적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경기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에 등록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0곳을 선정하여 직업훈련교사 총114명을 대상으로 우편 및 온라인 설문을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클라이언트 문제의 심각성이 낮을수록 소진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전문직업적정체성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사점: 본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소진을 보호·예방할 수 있는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에 초점을 둔 조직관리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burnout among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s.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Methods: A cross-sectional with a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in 2021. We randomly selected 50 organizations register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ssociations serv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ung-gi province, and a total of 114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with 70% response rates. Results: A higher level of professorial identity,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a lower level of client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 of burnout. The professional identity indirectly influenced burnout through job satisfaction.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o develop organizational strategies to address workers’ burnou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s while focusing on enhanc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