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스마트폰과다사용이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초등학생 4∼6학년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스마트폰과다사용은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과다사용이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완충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을 과다사용하는 아동이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문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과다사용하는 아동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를 위해 스마트폰사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을 높여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를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병리적 현상에 대한 초점과 관련하여 인간을 수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에서 인간을 능동적인 관점에서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는 힘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ffects of excessive smartphone use by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20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4th-6th grades among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veruse of smartphones, adaptation to school life, peer relations, and self-estee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overuse of smartphone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even for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who use smartphones excessively, if their self-esteem is high, negative problems 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s who overuse smartphones can help them adapt to school life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by raising self-esteem rather than directly engaging in smartphone use for positiv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is result acknowledges that there is the power to self-regulate humans from an active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focus on existing pathological phenom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