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들뢰즈의 두 번째 주저 『의미의 논리』는 전기 사상과 후기 사상을 연결하는 중요한 저서로서 들뢰즈 사유의 허리에 위치해 있는 저작이다. 『의미의 논리』의 전반부는 의미의 정적 발생을 다루고, 후반부는 동적 발생을 다루고 있는데, 본 논문은 후반부의 동적 발생의 구조를 탐구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들뢰즈의 두 번째 주저(主著) 『의미의 논리』(1969)는 전기 사상과 후기 사상을 연결하는 중요한 저서로서 들뢰즈 사유의 허리에 위치해 있는 저작이다. 『의미의 논리』의 전반부는 의미의 정적 발생(genèse statique)을 다루고, 후반부는 동적 발생(genèse dynamique)을 다루고 있는데, 본 논문은 후반부의 동적 발생의 구조를 탐구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의미의 논리』의 ‘정적 발생’은 초월론적 장으로부터 의미가 발생하는 방식, 사건이 사태 속에서 효과화 하는 방식을 이론화한 것이다. 이에 비해 ‘동적 발생’은 사태로부터 초월론적 장이 발생하는 방식, 사건이 사태로부터 발생하는 과정을 이론화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은 ‘동적 발생’에 있다. 그리고 동적 발생론은 들뢰즈에 의한 신체론이라고 말해진다. 동적 발생론에서 말하는 사태는 ‘신체’이다. 또는 신체이자 물체이기도 한 ‘corps’이다.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작용이 불가결하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사건을 위해서 신체에 무엇이 가능한가.’ 이것은 신체를 통하여 사건을 인식하는 방식을 묻는 것이 아니고, 그렇다고 사건의 내부에서의 신체의 존재방식, 혹은 행동의 양식을 묻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사건의 발생의 신체·물체적인 과정에 대한 물음이다. 이와 같은 물음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들뢰즈가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과 아토넹 아르토의 신체론으로부터 무엇을 이끌어 내려고 하는지를 검토한 다음에, 『의미의 논리』에서 동적 발생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동적 발생에서 신체의 유기체화와 정동의 관계를 밝힌 다음 마지막으로 동적 발생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려고 한다.


Deleuze's second representative work, The Logic of Sense(1969) is an important book that connects the earlier thought and the later thought, therefore this is a work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Deleuze's thought. The first half of The Logic of Sense deals with the ‘static-genesis’ of sense, and the second half deals with the ‘dynamic-genesis’ of sen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the ‘dynamic-genesis’ in the second half. The ‘dynamic-genesis’ of The Logic of Sense theorizes the way in which the transcendental field arises from the state of affairs, that is, the process by which events arise from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dynamic-genesis’ theory is said to be the theory of body in Deleuze. In the ‘dynamic-genesis’ theory, the state of affairs is ‘corps’, which is both a body and an object. The action of the body is essential for an event to occur. Here, we can ask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possible in the body for an event?’ This is a question that deals with the bodily and material processes of the occurrence of events. In order to clarify this question, we first examine what Deleuze is trying to derive from the psychoanalysis of Melanie Klein and the body theory of Antonin Artaud, and then in The Logic of Sense, we will clarify what the specific content of the dynamic-genesis is. Following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of the body and affect in the dynamic-genesis will be clarified, and finally, problems inherent in the dynamic-genesis will be point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