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가설에 입각하여 반려동물 효과로서 회복탄력성과 더불어, 반려동물 상호작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반려동물 효과 기제를 살펴보았다. 국내 지역사회 만 19세 이상 성인 632명을 대상으로 인간-동물 상호작용 척도(HAIS), 다차원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MSPSS),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RQ-53),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반려동물 소유 자체보단 동물과의 상호작용이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반려동물 소유자 집단에서 반려동물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을 설명하였고, 이를 특히 지각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과 특히 지각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the social support hypothesis,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of companion animal effect measured by resiliency,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and resilience. A total of 632 community sample adults completed the Human-Animal Interaction Scale(HAIS),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Korean Resilience Questionnaire-53(KRQ-53), and Perceived Stress Scale(PS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on with one’s companion animal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an simply owning one. Among companion animal owners,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explained resilience, and perceived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complete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erefore, interventions that improve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particularly perceived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may help increase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