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을 기반으로 읽기 유창성에 대한 인식과 지도 유형을 탐구하였다. 읽기 유창성에 대한 인식 확인을 위해 빈도 분석과 상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읽기 유창성의 하위 요소 중 표현성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학년 대상의 읽기 유창성 지도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국내 초등학교 읽기 유창성 지도는 주로 글자, 단어 수준보다 문장, 문단, 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무의미 단어에 대한 지도 경험은 매우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지도 및 평가에 활용하는 자료로 주로 교과서를 꼽았으며, 시도교육청 자료 및 전문 평가 도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읽기 유창성에 대한 교사 교육을 많이 받은 교사일수록 활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비단어, 시도교육청 자료, 전문 평가 도구를 읽기 유창성 지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PAM 군집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읽기 유창성 지도 유형은 ‘소극적 실천형’, ‘임의 실천형’, ‘적극적 실천형’의 세 가지로 나뉘었다. 이에 읽기 유창성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원을 활용하는 ‘적극적 실천형’으로 교사들을 견인하기 위해 교사 교육의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and teaching profiles of reading fluen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176 primary school teacher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notably aware of prosody in three components (automaticity, accuracy, and prosody) of reading fluency. Furthermore,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fluency instruction for students in higher grades rather than lower grades. The fluency instruction was mainly conducted at the sentence, paragraph, or text level rather than with letters and nonword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to teach reading fluency was a textbook unlike an official diagnostic tool such as BASA-R. However, teachers with more preparation experience utilized nonwords or diagnostic tests more often. Based on PAM Cluster Analysis, the teaching profi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and teaching experience: passive novice, active intermediate, and active expe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meaningful teacher education to motivate teachers to become an “active expert type” that utilize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for reading fluency i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