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이 선택한 정서조절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전국 17개 시·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재학생 440명 중 외상경험을 보고한 358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능동적 정서조절양식,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적 자기노출이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적 자기노출이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상경험자가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상담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self-exp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 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For this purpose, we checked whether emotional self-exposure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 Traumatic Growth for 358 students who reported trauma among 440 students at universities located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who conducted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support-seeking emotional regulation style indirectly affect Post Traumatic Growth through emotional self-exposu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avoidance-dispers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did not indirectly affect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emotional self-expos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in the process of Post Traumatic Growth in a trauma-experienced person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counseling.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