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4차 산업혁명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경영환경 조성과 유연한 조직문화, 직원의 업무 전문성을 요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학습조직화지원 사업’을 위해, 학습조직 수준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변화지지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습조직 수준과 변화지지행동과의 관계에서 상사 신뢰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학습조직화지원 사업에 참여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배부된 설문지 중에 유효표본 299개(94.32%)가 사용 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 수준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변화지지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 수준과 상사 신뢰와의 상호작용은 변화지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조직 수준과 자기효능감과의 상호작용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정부의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지원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변화지지행동이 중요하며, 변화지지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s the creation of a digital management environment for SMEs, a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work expertise of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ange support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ustainable ‘learning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of SMEs, it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trus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with behavior supportive behavior. To this end, 299(94.32%) valid samples were used among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conducted for SM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hange support behavior in relation to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level and leader trust significantly influences change support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and self-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 commitment. Ultimately, this study derives implications that for the success of SMEs ‘Learning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the change support behavior of employees is important, and the trust of the boss must precede change support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