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공간주권의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력과, 자기효능감 및 집단주의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공간주권에 대한 상반된 연구결과를 재확인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변수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적절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현장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표본은 편의추출방식을 선택하였고, 다중 및 계층적 회귀분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업무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이며 방어행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공간주권과 혁신행동에서 자기효능감 및 집단주의의 조절효과가 인정되며 방어행동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의 시사점]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주권의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최근 도입되고 있는 핫 데스킹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개인차를 고려한 효율적인 공간주권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luence of innovative behavior by space sovereignty. Another aim was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corporate employees’ self-efficacy and collectivism. [Methodology]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variables as followings; First, space sovereignty (two sub-scales including the marking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as the independence variable. Second, innovative behavior as the result variable, and finally, the self-efficacy and collectivism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established Hypotheses. Total 140 corporate employees working in Chun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the sample. [Findings]Space sovereignty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Second, both employees’ self-efficacy and collectivism moderated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sovereignty and the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Implications]This study confirms the positive influence of space sovereignty and provides basic eviden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hot des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