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600년부터 1604년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쓰시마를 방문한 정탐사의 파견 배경과 그 목적을 논한 것이다. 쓰시마-조선 간을 왕복한 외교문서(서계)를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절 파견의 주요 목적은 제1회는 일본(도요토미 정권)에 대해서 강화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는 외교문서를 전달하는 것, 제2회는 쓰시마와의 강화(기미관계의 재구축)의 실현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 제3회는 쓰시마와의 강화를 성립시키는 것이다. 이들 견사(遣使)는 조선이 명나라 간섭을 우려하면서도 주체적으로 강화를 모색한 결과이다. 정탐사는 조선 정부 내에서 강화 추진파와 반대파가 대립하는 가운데 단계적으로 파견되었다. 국왕 선조를 중심으로 하는 추진파가 강화를 위한 유학적 근거로 표방한 것이 ‘제왕대이지도(帝王待夷之道)’이다. 즉, ‘장래’를 내다보고 ‘기왕’에 구애하지 않는 것이 ‘성인지심(聖人之心)’이며, ‘허인혁면(許人革面)’이 ‘왕자지도(王者之道)’라는 것이다. 이것이 쓰시마와의 기미관계 및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재구축하기 위해 유효한 언설이었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dispatch of Joseon’s envoys (detectives) who visited Tsushima three times from 1600 to 1604. The analysis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exchanged between Tsushima and Jose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main purpose of the envoys is to transmit a diplomatic document that suggest the possibility of peace with Japan (Toyotomi administration) in the first s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eace with Tsushima in the second, and to establish a peace with Tsushima in the third. These envoys were dispatched as the result of seeking peace independently, despite concerns over Ming’s interference. They were dispatched step by step in the face of division of opinions in the Joseon’s government. The party of peace promotion led by King Seonjo advocated the logic of Confucianism that Emperor (King) have to care for barbarians. In other words, this idea is that Emperor does not stick to the past in anticipation of the future, and so forgive the opponent. This was an effective discourse for rebuilding the binding relationship with Tsushima and the neighboring relationship with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