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 한국 근대문학을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 동아시아적 지형 위에서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즉 국가나 민족 단위에 한정된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대상과 관점을 확대하여 근대 한국 문인들의 상해 이주 경험을 주목함으로써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적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 한국문인들이 상해에 머무르면서 어떠한 사상적 지점과 문학적 지향성을 형성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방향은 식민지 시대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한국 근대문인들의 대외 활동과 그에 따른 문학 활동의 국제주의적 시각을 이해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망명 혹은 독립 운동의 차원에서 상해로 이주했던 한국 근대 문인들의 이산(離散)의 경험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서구적 근대정신과 문명적 세계 인식으로 표상된 상해의 도시문화적 성격이 당시 한국 근대문학 속으로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식민지 한국 근대문학을 중국 상해에 거주했던 내부자 혹은 외부자의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제국주의의 억압을 넘어서 조선인의 이주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상해의 역사적 장소성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 한국 문인들의상해 인식을 논의하였다. 또한 1920∼30년대 상해한인사회의 역사적 형성과 한국 문인들의 창작 활동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독립운동사의 맥락에서 식민지 시기 상해 이주 한국 문인의 근대 인식과 상해한인사회의 디아스포라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시 상해를 중심으로 형성된 대학과 한국 문인들의 교류와 영향 관계를 논의하기위해, 호강대학, 지강대학을 비롯한 화동(華東) 지역 대학의 역사와 교육 방침, 그리고상해 지역 유학생회 조직의 활동 등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상해 지역 한인사회사(韓人社會史)와 상해를 중심으로 전개된 중국 근대 역사의 변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근대 상해 이주 한국 문인들의 정치사회적활동과 상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근대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두었다. 그리고 상해를 중심으로 한 근대 중국에 대한 인식이 상해로 이주한 한국 문인들의 문학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근대 상해이주 한국 문인의 상해 인식과 상해 배경 문학 작품의 사회역사적 의미를 총체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과제로 설정하였다.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examine Korean modern literatur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topography of East Asia and to discuss the experience of Korean writers’ emigration to Shanghai, by expanding objects and viewpoin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hich was limited by nation and ra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what ideological points and literary directivity Korean writers at the time formed while staying in Shanghai. Moreover, by objectivel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dispersion by Korean writers who exil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or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urban, cultural nature of Shanghai, represented by modern spirit of the West and the civilized world, flew into Korean modern literature of the time. Thus, this study observed Korean modern literature of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eyes of insiders or outsiders that lived in Shanghai, China; focused on historical places in Shanghai where Koreans experienced migration whether it was forced or voluntary beyond imperialistic oppression, and discussed the awareness of Shanghai that Korean writers ha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order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 Shanghai in the 1920~30s and Korean writer’s creative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modernism by Korean writers living in Shanghai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Diasporic meaning of the Korean society in Shanghai. Also, in order to discuss the exchange and influence between universities built in and around Shanghai and Korean writer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educational policies of universities in the East China region, including Shanghai College and Hujiang University and Zhigang University. This study has its basis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modern China centeringon Shanghai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society in Shangha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its focus on investigating the socio-political activities of Korean writers who emigrated to Shanghai and their awareness on China. The study analyzed how Korean writers’ awareness on China centering on Shanghai was reflected in their literary activities and creation of literary productions in the later period and discussed the impor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