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82년 KBS에서 제작한 총 4부의 해학드라마 창극 <이춘풍전>을 대상으로 방송에서 제작된 창극이 갖는 특징을 TV라는 영상매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창극은 주로 무대를 통해 연행되었지만, 텔레비전 매체의 등장으로 수용의 기반을 넓히게 되었다. 텔레비전과 만난 창극은 그것의 극적, 음악적 면모를 영상매체의 속성에 맞게 드러내었는데, 본고를 이를 3가지로 살펴보았다. 먼저, 4부, 총 3시간의 드라마 구성 속에서 고전소설 <이춘풍전>의 서사는 보다 풍부해졌다. 특히 방송이라는 매체가 갖는 시간 표현과 공간 이동의 자유로움이 다양한 장면을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고전소설에는 등장하지 않는 장사랑이라는 인물을 창조하여 그가 회상의 방식으로 춘풍 아내의 수고로움을 춘풍에게 전하는 장면, 춘풍과 추월이 사랑가로 노닐고 있는 시간에 춘풍 아내가 춘풍을 위해 기도하는 장면의 연결 등은 영상매체가 과거의 사건과 현재 사건의 동시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드라마 환경에서 구성되는 다양한 세트와 자연스러운 공간이동 또한 <이춘풍전>의 서사를 현실감 있으면서도 풍성하게 그려냈다. 본고는 우물가와 주막 등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통해 이의 면모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카메라 촬영 기법은 <이춘풍전> 이야기 속 인물의 역할과 정서를 시각화하였다. 소설에는 등장하지 않는 길례라는 어린 시종은 춘풍처가 평양에 가서 춘풍을 데려올 수 있는 꾀를 내어줄 뿐 아니라, 춘풍처와 참판댁 부인 사이에서 감초와 같은 역할을 하며 극의 재미를 부여하였다. 카메라는 길례가 꾀를 내어 춘풍처를 돕는 장면에서는 그녀를 close-up 함으로써, 그리고 춘풍처와 참판댁 부인 사이에 그녀가 위치한 장면은 full shot을 취함으로써 작품 속 길례의 역할을 시각화하였다. 외에도 상황에 따라 주요 인물의 표정을 close-up하여 그의 정서를 직접 전달하였다. 이는 창극이 무대를 통해 연행될 때에는 표현하기 어려운 점으로, 영상매체의 환경 아래에서 창극이 극적 면모를 실현하는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TV 창극이 판소리를 보다 수월하게 대중에게 전하였을 뿐 아니라, 방송을 통한 음향 장치가 창극 음악의 핵심인 판소리를 선명하게 전달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보았다. 고전소설 <이춘풍전>은 판소리계 소설의 성격을 갖기는 하지만, 판소리로불린 바는 없다. 따라서 창극 <이춘풍전>의 소리는 모두 작창을 통해 이루어졌고, 방송창극에서는 이를 조상현이 맡아 수행하였다. TV 창극 <이춘풍전>에서 들을 수 있는 판소리는 주로 대화의 형식을 띠고 있는데 드라마적 상황 속에서 보다 쉽고 편안하게 판소리 음악을 전달하고자 한 의도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방송은 배우들의 소리를 균질하고 선명한 음향으로 전달하였다. <이춘풍전>에 출연하는 배우들은 모두 국립창극단 소속의 소리꾼들로 주연에서부터 조연, 그리고 단역에 이르기까지 모두 뛰어난 실력을 갖춘 명창들이다. 방송의 기술적인 음악 장치는 그들의 소리를 선명하게 전달하는데 용이하였고, 역할 비중의 정도와 무관하게 뛰어난 소리꾼들의 수준 높은 판소리를 듣는 기회가 되었다. 본고는 그간 구체적인 면모가 밝혀지지 않은 텔레비전 창극의 면모를 세밀하게 드러냄으로써, 영상매체와 접목하는 과정에서 창극이 보여준 변화를 제시하는 데 주력하였다. 향후 창극이 다양한 매체 환경에 노출되는 사회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논의를 이어가도록 할 것이다.


Th 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produced in broadcasting through the 1982 KBS drama "Lee Chun Poong-jeon" in terms of video media. Changgeuk is usually performed on stage, but it meets television and reveals the dramatic and musical aspects of Changgeu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media. Th is study described it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narrative of the classic novel "Lee Chun Poong-jeon" became richer with a total of three hours of drama composition. In particular, stories that utilize new characters that do not appear in novels were conveyed more interestingly due to the freedom of time and space expression using the medium of broadcasting. Next, various camera shooting techniques such as close-up and full-shot are utilized to visualize the roles and emotions of the characters. Th is is a part that cannot be shown when a Changgeuk is performed on stage, and it is a dramatic feature of Changgeuk that can be realized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video media. Finally, the TV Changgeuk "Lee Chun Poong-jeon" mainly consisted of pansori music in the form of dialogue, which made it easier and more comfortable for viewers to understand pansori in the drama's situation. In addition, the technological music device of broadcasting clearly conveys the pansori of outstanding singers, providing high-quality pansori music to vie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