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a specific controversial issue in the cross-cultural field: in cross-cultural studies, regarding whether the country or the region should be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y areas of life.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have been actively dealing with this topic for decade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Minkov and Hofstede (2012), and using the latest data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based on the Schwartz valu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cultural values​among 239 regions of 19 countries taken from five groups: Asia, Latin America, Eastern Europe, the Arab World, and Anglo countries. By analyzing the aggregation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clusters, this paper examines the judgment basis for and use of analytical units in cross-cultural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cultural differences within some countries can be larger (e.g, China, Peru, Russia, etc.) or smaller (e.g, United States, Jordan, etc.) than differences among countries. We have also found a pattern of national cluster aggregation will be changed over time. This research provides a reference basis for effectivel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differences in national and regional values and provides theoretical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 in the formulation of market strategies among multinational companies.


본 연구는 다문화 연구 분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 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분석단위가 국가인지 아니면 한 국가내의 지역인지가 논쟁이 되고 있다. 수십 년 동안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러한 이론적 논쟁에 매달려 오고 있다. 본 연구는 Minkov and Hofstede(2012)의 연구 방법과 세계 가치 조사(World Values Survey)의 최신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교문화 연구에서 분석의 단위가 국가가 바람직한지 아니면 지역단위가 바람직한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슈와르츠 가치관 값을 활용하여 5개 그룹, 19개국 239개 지역의 문화적 가치 차이를 분석한다. 5개 그룹은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동유럽, 아랍 세계, 그리고 영국이 포함된다. 분석결과 국가간 문화차이보다 국가 내 문화적 차이가 큰 경우도 있고(중국·페루·러시아 등) 작은 경우(미국․ 요르단 등)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국가간 차이보다 지역간 차이가 작아서 비교문화 연구에서 연구의 분석단위는 한 국가 내 지역보다는 국가단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국가 클러스터가 모이는 패턴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 연구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국가 및 지역 단위의 분석단위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다국적 기업들 간의 시장 전략 수립에 유용할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