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그리고,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관계중독, 외로움, 자기자비 척도 등을 실시하여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부,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관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부,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부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부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대학생 자녀가 부모의 거부적인 양육을 경험하면서 관계중독으로 나아가는 경로에 대한 설명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경로에서 자기자비 수준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in this relation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lationship addiction. Method: The scales of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relationship addiction, loneliness, and self-compassion were administered to 387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both parents, fathers, and mother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lationship addiction. Lonelines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addi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likewise found on loneliness as influenced by th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fathers, except for moth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Conclusion: Results provide an explanation relationship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rejective parenting, and further pave the way for exploring moderation by self-compa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