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식민지기 경성에서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시작으로 1923년 조선부업품공진회, 1926년 조선박람회, 1929년의 조선박람회, 1935년 조선산업박람회, 1940년 조선대박람회 등 많은 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이 논문은 박람회의 홍보 이미지 자료를 통해 식민지기 경성에서 개최된 박람회의 성격과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미지 자료로는 포스터를 비롯하여 그림엽서, 안내장과 같은 종이에 인쇄한 자료뿐만 아니라 입장권, 선전탑, 기념물품 등도 살펴보았다. 조선총독부는 경복궁을 박람회장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공공공간화’이자 ‘탈권위화’이고, 근대에 기존의 권력공간을 재편하는 일반적인 방향이었다. 그러나 포스터 등 홍보 이미지 자료에 궁궐 등 전통 건축물이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일반적인 제국주의와는 달리 옛 권력공간을 평가하는 태도가 부정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선전탑과 선전장식 등의 거리 홍보물이 경성역-남대문-경성부청-광화문(조선총독부)으로 이어지는 식민지기 경성의 핵심가로에서 비스타 경관을 만들어낸 것도 확인하였다. 홍보 이미지 자료의 통시적인 비교를 통해서는, 조선성에 대한 강조가 1929년의 조선박람회뿐만 아니라 다른 시기 개최된 박람회에서도 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민지인 조선에서 개최된 박람회의 경우 문명 대 야만이라는 구도보다 과거의 조선 대 현재의 조선이라는 구도가 주요하게 등장할 수밖에 없었고, ‘문명화의 길로 접어든 조선’이라는 것이 진행 중인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이미지 자료 속에 등장하는 여성의 이미지는 식민지를 여성화하는 콜로니얼리즘, 또는 동양을 여성화하는 오리엔탈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성적 대상화와 고정적인 성역할의 표현이었고, 시기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In Gyeongse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many expositions were held, starting with the 1915 Joseon Trade Fair, the 1923 Joseon Industry Exhibition, the 1926 Joseon Exhibition, the 1929 Joseon Exhibition, the 1935 Joseon Industry Exhibition, and the 1940 Joseon Grand Exhibi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exhibition held in Gyeongse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promotional image materials. As image materials, we looked at not only printed materials such as posters, picture postcards, and invitations, but also admission tickets, propaganda towers, and memorabilia. Joseon Government-General chose Gyeongbokgung as the venue for the exhibition. This was 'public spaceization' and 'deauthorization', and it was a general direction to reorganize the existing power space in modern times. However, considering that many traditional buildings appear in promotional image materials such as posters, it seems that, unlike general imperialism, the attitude toward evaluating the old power space was not negative. And street promotional materials such as propaganda towers and decorations created a vista landscape on the main street of Gyeongseong. Through a diachronic comparison of promotional imag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hasis on Joseon locality appeared not only in the 1929 Joseon Exhibition, but also in the exhibitions held at other times. ‘Joseon on the path to civilization’ was more effective in rationalizing the ongoing colonial rule. The image of women in the poster can be explained as colonialism or Orientalism, but it was basically an express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fixed gender rol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