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스펙에 대해서 대학교 졸업 전후 취업자와 미취업자들 사이에 스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취업그룹은 취업 후에 대부분의 스팩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감소했지만, 미취업자들이 스펙들에 대하여 느끼는 중요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역량이라던가 취업에 요구되는 역량에 관한 자세한 정보나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미취업자는 대부분의 스펙이 여전히 취업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반면, 취업자들은 취업 후 직무를 경험하고 인사담당자의 관점으로 스펙들을 볼 때는 그들이 준비한 대부분의 스펙은 취업하는 데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았다고 인식이 변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업은 구직자들에게 취업 준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채용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인재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구직자 역시 기업에 대한 정보를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concerning the effect of employment specification among the employed and unemployed before and after colle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he employed group was less aware of the importance of most specifications after employment, the importance felt by the unemployed group did not change. In the absence of detailed information and guidelines on job requirements, the unemployed group is forced to think that most specifications are principal factors for 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stresses that companies should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recruitment, and that job seekers should closely examine information about and requirements of the companies they apply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