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포스트 냉전 시기 지식 조건의 변화에 따라 중국 인식의 ‘탈냉전화’가 권역적 차원의 지적 과제가 되었음을 제기하며, 이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중국 사회사 논쟁이라는 역사적 계기 및 중간파 지식인 胡秋原의 회고와 평가에 주목한다. 胡秋原의 회고는 중국 공산당의 승리주의적인 관방 역사관과 달리 1930년대가 사실상 거대한 과도기였음을 보여준다. 당시 국민당, 공산당, 트로츠키주의 및 기타 지식인 등이 공존하며 상호작용했고, 이와 같은 복잡성이 심지어 공산당의 혁명 노선 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간파는 정치진영의 배타적 논리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교조주의적 이론 적용에비판적일 수 있었기 때문에 사회와 민족 전체의 이익을 대표하는 담론을 제기할 수 있었다. 아울러 胡秋原은 이와 같은 중간파 지식인의 전통을 계승하여 훗날 대만에서 반제국주의적인 제3세계론과 ‘초월전진론’ 등을 전개한다. 이와 같은 胡秋原의 사상 역정은 중국 인식의 탈냉전화 방향을 함축하면서 동시에 동아시아의 지적 참조체계 안에서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oints out, as the conditions of knowledge in the post-Cold War era evolve, the “de-Cold-Wariz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China has become an intellectual topic of regional significance, so as the concern, brought by such historical juncture, of the debate of Chinese social history and within which the reflection and commentary of (the work of) Hu Qiuyuan (胡秋原), who is viewed as an intellectual in the middle of the political spectrum. Hu Qiuyuan’s intellectual reflection was different from the official historical narrativ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succeeded it, as the 1930s was actually a time of great intellectual altercation. Back then, the Kuomintang, the Communist Party, the Trotskyist, and the others in the middle co-existed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even pushing the CCP to alter its course of the revolutions. Specifically, because the middle position was not contained by the logic of exclusivity of other political positions, it was able to criticize the theoretical praxis of other form of dogmatism and represented the whole-of-society and the subjectivity of national interests. Moreover, Hu Qiuyuan,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middle position in the debate of social history, unfolded a theory of anti-imperialist, Third World-ist and sublated progressivism. As such, Hu Qiuyuan’s intellectual history might implicate the direction for the “de-Cold-Wariz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China and have a positive meaning in the inter-referential system of knowledge in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