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불확실한 삶』 이후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동향과 변화, 즉 프레카리티로의 확장과 그 양가적 의미를 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불확실한 삶』이 9/11 이후 드러난 타자의 불확실성과 상처받기 쉬움의 문제에 주목하는데 반해, 그 이후의 저작은 애도가능성과 프레카리티와 같은 확장된 문제의식을 다룬다. 『불확실한 삶』의 중요 개념인 불확실성이 존재론적 의미였다면, 이제 버틀러는 불확실성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애도가능성의 조건을 고찰하면서, 이 애도가능성을 차별적으로 배분하는 프레카리티 개념으로 이론을 확장한다. 프레카리티에 관한 버틀러의 사유는 국가 폭력과 우리를 대면시킨다. 이 폭력은 국가가 주도적으로 특정 집단을 상해와 죽음에 노출시키는 주권권력의 작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자유주의 통치성 내에서 운영되는 수행적 행위, 유령적 주권권력이 행사된 결과이다. 이로써 주권권력에 초점이 맞춰진 국가 폭력이 아니라 삶과 죽음의 문제가 다른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생명정치의 문제를 분석할 수 있다. 21세기에 심화된 신자유주의 통치성은 인간 존재를 처분가능한 삶으로 양산하는 데 더욱 혈안이 되어 생명정치를 행한다. 이런 프레카리티를 차별적으로 배분하는 생명정치에 반대하여 버틀러는 프레카리티의 또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 박탈의 개념은 주체구성적 조건으로서, 프레카리티를 연대의 장소로 재의미화한다. 박탈당한 프레카리티의 신체들은 프레카리티를 보임으로써 프레카리티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Judith Butler’s theoretical change after Precarious Life, that is ambivalent meaning of precarity. Precarious Life focuses on the precariousness and vulnerability of others while subsequent works focus on grievability and precarity. In order to analyze the modes of powers in governmentality, Butler expands her thought toward precarity designating that politically induced condition in which certain populations suffer from failing social and economic networks of support and become differentially exposed to injury, violence, and death. The concept of precarity leads us to confront state violence. This is not the traditional sovereign power. Rather, it is a reanimated spectral sovereignty within the field of governmentality. Neoliberal governmentality, deepening in the 21st century, is more eager to produce human beings into disposable lives. Against this biopolitics, Butler suggests the paradox of precaity. The notion of dispossession, as a condition of subject constitution, could perhaps resignify precarity as a site of solidarity. In showing precarity, the precarious bodies could resist prec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