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있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간에 또래소외와 정서문제(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가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이 경험한 아동학대가 자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소외와 정서문제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자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 혹은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 과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종단연구조사 데이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에 조사된 2기 5차 패널(346명)의 횡단자료를 대상으로 연구에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IBM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 간에 또래소외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여 자아인식에 부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 간에 정서문제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여 자아인식에 부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 간에 또래소외와 정서문제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또래소외와 정서문제의 이중매개효과의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의 관계에서 또래소외와 정서문제의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아동학대가 높을수록 또래소외가 높아지고, 소외가 높아질수록 정서문제도 높아져, 결과적으로 청소년의 자아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아동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인식의 관계에서 또래소외와 정서문제는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긍정적인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과 청소년의 정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청소년의 자아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여 변인들의 구체적 기능을 확인해 줌으로써 청소년들의 자아인식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방안과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self-esteem, self-resilience) targeting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abuse did.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al child abuse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influence of child abuse on adolescents' self-awareness by examining how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mediate the effects of child abuse experienced by adolescents on self-awareness the process was empirically verifi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data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a panel of children in a regional children's center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under the consignmen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ral Support Group of the regional children's centers. In this study, cross-sectional data of the 2nd and 5th panel (346 people) surveyed in 2018 was used for the study, and IBM SPSS 22.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eer aliena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and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aware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problem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and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awaren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Process Macro Model 6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0 was set in the confidence interval for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was found not to be included. In other words, the indirect effects of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child abuse, the higher the peer alienation, and the higher the alienation, the higher the emotional problem. Theref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s' self-awareness, it was verified that peer alienation and emotional problems were double-mediated. Reflecting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self-awareness of adolescents by suggesting way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 to solve the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By confirming the specific functions,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of adolesc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