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경로에서 공격성과 휴대전화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CYPS) 7차년도(2016) 데이터에서 대학교 1학년인 사례자 총 1,34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심적인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응용하였으며, 매개경로의 효과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제시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활만족도를 예측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을 검증되었다. 둘째, 본 연구는 공격성과 휴대전화 중독을 연결하는 매개경로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s aim was to verify mediating role of the aggression and the mobile phone addiction in the direct path between the social withdrawal and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an university student. To do so, this study have selected a total of 1,347 cases including in first grade of college as an analysis target from Korean youth-child pannel survey (KCYPS) 7th (Year of 2016) data. As a main analysis method, this study have applie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AMOS 18.0), and have used Sobel test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n the basis of presented analysis method, this study have derive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Firstly, this study have verified the direct path’ effect which the social withdrawal have effected to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an university student. Secondary, this study have prov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ggression and the mobile phone addiction. Through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ve suggested the suggestion for a follow-up study and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about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