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단토의 예술철학적 관점에서 커뮤니티댄스가 지니는 철학적 요소와 의미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토의 예술철학에서 중요한 키워드인 ‘관계’를 증심으로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 개념을 통해 커뮤니티아트와 커뮤니티댄스의 철학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현대예술사조로서 예술과 철학이 동일시해야 한다는 시선이 제기되었다. 둘째, 이를 커뮤니티댄스로 탐색하였을 때, 과거 관조적인 형식미와 무용테크닉을 중요시하던 역사적 패러다임에서 누구나 춤을 선택할 수 있고, 자발적으로 춤출 수 있는 ‘탈역사적 내러티브’, 일상의 움직임과 일상의 자유로운 춤들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평범한 것의 변용’, 공동체 춤 활동에서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현된 의미’가 커뮤니티댄스가 지니는 예술철학적인 함의임을 밝힘으로서 예술과 철학의 교차점을 이루게 하는 예술활동임을 밝혔다. 이에 현대예술철학적 시선의 커뮤니티댄스에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elements and meaning of community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Danto’s art philosophy. To this end, I looked at the philosophical elements of community art and community dance through Nicola Bourilllot’s concept of ‘relational aesthetics’, with the key keyword in Danto’s art philosophy,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view that art and philosophy should be identified as a contemporary art trend was raised. Second, when examining this as a community dance, in the historical paradigm that emphasized contemplative formal beauty and dance technique in the past, anyone can choose to dance, ‘post-historical narrative’ in which they can dance voluntarily, and daily movements and free dances of everyday life. It was revealed that the ‘purposing of ordinary things’ that can become works of art and the ‘embodied meaning’ in the process of the members’ interaction in community dance activities are the artistic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community dance. As such, we look forward to follow-up studies that make community dance the intersection of art and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