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기존 3막 구조를 중심으로 한 작법이 창작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물-목표’ 중심의 새로운 창작 방안을 제안하였다. 인물이 무엇을 원하고, 얻기 위해 노력하며, 이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보여주는 것이 극의 가장 기본 구조라는 점을 바탕으로, 이를 ‘목표 설정’·‘목표 달성의 방법’·‘목표 달성의 가능성’·‘달성 여부’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 구분된 요소를 선택하여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였다. ‘목표 설정’은 획득·제거·폭로·탈출·유지·은폐·예외 등으로, ‘목표 달성의 방법’은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였고, ‘목표의 달성 가능성’과 ‘달성 여부’는 인물이 가진 조건의 정도와 성공·실패로 각각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로를 설정했을 때, 하나의 목표라 해도 어떻게 얻고자 했는지, 어떠한 조건에서 성공과 실패를 했는지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가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의 컨벤션으로 장르적 특징을 구분하던 기존의 관점을 넘어,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로 장르를 나눌 것을 제안하였다. 이 관점은 장르를 스토리 내에서 ‘목표 달성의 방법’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요소로 위치 짓는 것으로, 스토리의 경로 탐색 과정에서 다양한 장르적 실험을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미 짜인 구조에 따르는 작법을 넘어 창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다양한 실험이 가능한 실무적인 창작 방식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d a new measure for creation centered on “Character-Goal” based on the critical mind that the existing writ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Three-Act” structure is not directly helpful for creation. Based on the fact that showing what characters want and make efforts to get and whether they succeed or fail is the most basic structure of a drama, this study divided that into “Goal Setting,” “Method of achieving the goal,”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and “Whether the goal is achieved” and presented paths that could make stories by selecting each element classified. “Goal Setting” was classified into acquisition, removal, exposure, escape, maintenance, concealment, and exception. “Method of achieving the goal” was divided into the methods that would socially be recognized and those that would not b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and “Whether the goal is achieved” were divided into the degree of character’s conditions and success and failur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when the path was set based on this, various stories could be derived, according to how the goal would be obtained and whether it succeeded or failed under what condi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of the genre is made, which determines the mood of the work, according to “Method of achieving the goal.” This study proposed a new paradigm of creation beyond the writing techniqu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lready made out, which showed a practical way of creation for which various experiments would b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