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5·18국가폭력 및 민중항쟁을 소재로 국가폭력에 의한 죽음이 민중항쟁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검토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공수부대의 폭력으로 인해 많은 시민들이 죽은 상황에서 시민들은 그 죽음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그들은 어떠한 장례 의식을 만들고 있었고, 그러한 장례 의식이 시민들의 항쟁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장례 준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를 갖고 있었다. 첫째, 시신들을 처리하면서 시민들은 군의 비인도적이고 잔인한 폭력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시민들 사이에서 일체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죽음을 가져온 국가폭력에 저항하면서 시민들은 자신들이 민주국가의 주인임을 드러냈고, 그 결과 시민들의 저항은 보편적인 가치를 획득하게 되었다. 셋째, 21일 이후 항쟁의 방향성을 놓고 두 개의 노선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장례준비는 국가권력에 대한 항쟁을 추동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장례준비 자체는 국가주의적 의례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national violence, and popular uprisings. Based on data from the May 18th Uprising, the paper explores how citizens responded to the threat of and surrounding experiences with deaths caused by military(paratroops) attacks. What kinds of funeral ceremonies society performed, and what effects did these rituals have on social morale and motivations that might have incited the people's uprising? The study found that funeral processions had three effects. First, while disposing of the bodies, citizens increasingly confirm to see military violence as ‘cruel’ and ‘inhumane’ while also developing a sense of unity. Second, as citizens rose to fight against national violence, they empowered themselves as the essence of a democratic state and made civil resistance as an acquired universal value. Third, in the process of colliding two routes for the direction of the uprising after the 21st, the funeral proceedings and preparations incited civilians to struggle with national power while counterintuitively qualifying as nationalistic rit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