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일대 발달장애 특수학교 10곳의 초·중·고(전공과 포함) 과정 특수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특히 민주적이고 인권친화적인 학교 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에 대한 인식이더 높았다. 그러나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민주시민교육 내용의 중요도 및 교육 방법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념보다는 실천적 행동양식으로써 민주시민교육과수동적 적응행동 중심 교육을 넘는 능동적 시민교육이 필요하며,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써 창의적 통합교육을실행하는 특수학교와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current status, content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cluding majors) at 10 special schoo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wareness of efforts to form a democratic and human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was high.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quir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and the educational method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low. Results also showed the need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practical behavior rather than an ideology and the need of an active civic education that could go beyond passive adaptive behavior-centered education.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creative inclusive educa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special schools as a venue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