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만족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1월에서 2020년 3월까지 서울, 경기, 충청 5개 대학의 1,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1,024부 중 불성실 응답과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거한 후 928부를 연구 분석에 활용하여 SPSS 23.0과 AMOS 23.0을 통해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단절 및 도식, 대인관계만족, 주관적 안녕감, 적극적 스트레스대처 방식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애착불안, 애착회피, 단절 및 거절 도식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과 주관적안녕감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애착불안, 애착회피,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만족,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대처 방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을 위해 애착불안, 애착회피, 단절 및 거절 도식 그리고 매개변인인적극적 스트레스대처 방식과 관련하여 보다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적극적 스트레스대처 방식을 통해 대인관계만족과 주관적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대학생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 향상을 위해 대학 현장에서 실질적인 상담 개입과교육적 활용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response meth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of 1,100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was conducted, and 928 copi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o analyze structural equations through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First, the research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insecure attachment,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response methods all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tics, the lower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ed that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response methods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more integrated understanding is needed in relation to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which ar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tics and parameters, fo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improved. As a result,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s at the university si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