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팬데믹 상황에서 방역수칙과 종교적 규범이 충돌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이에종교인들의 이기심과 부도덕성을 비난하는 여론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낡은 질문이소환된다. “종교는 사람을 과연 더 도덕적이게 하는가?” 본고는 진화된 마음에 관한이해를 바탕으로 이 질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재검토한다. 구체적인 과제는 종교와도덕성의 관계를 논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개념적 혼란을 정리하고, 종교와 도덕의진화인지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발전시켜, 팬데믹 상황에서종종 발생하는 ‘종교적 도덕성’ 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도덕기반이론, 인지종교학 이론, 행동면역체계 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가설적인 설명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기반이론(Moral Foundations Theory, MFT)에 따르면, 도덕 판단은 서로 다른 진화적 적응문제에 기초한 다섯 가지 심리기제들에 의해 발생한다.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CSR) 이론의 ‘표준모델’은 우리가 ‘종교’라는 범주로 대상화하는 다양한 현상들은 인간종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적응들의 부수적인 효과라고 주장한다. 도덕기반이론과 인지종교학 이론은 도덕과 종교의 진화인지적 토대를 분석 가능한 복수의 하위 단위로 분해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행동면역체계는 감염이나 오염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회피하게 해주는 일종의 경보장치이며, 그 효과는 감정의 영역에서 역겨움으로 나타나고 행동의 영역에서는 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팬데믹 상황에서는 행동면역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인종, 지역, 출신, 종교, 성적 지향 등에 대한 차별과 배제가 강화되기 쉽다. 본고는 위의 두 이론과 행동면역체계가 동시에 고려되는 종교적 도덕성의 설명모델을 구상해 보았다. 이 작업은 종교와 도덕의 구성요소들을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돼온 과학적 분석의 단위로 적절히 세분화했다는 점에서 맥케이(McKay)와 화이트하우스(Whitehouse)의 연구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측면이 있으며, 행동면역체계를 팬데믹상황의 인지생태학적 요인으로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새로움이 있다.


In pandemic situations, we often see conflicts between quarantine and religious norms. As a result, public opinion is formed to criticize the selfishness and immorality of religious people. Thus, an old question is summoned: “Does religion ever make people more moral?” This article reviews the problems inherent in this ques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evolved mind. Specifically, it outlines some conceptual confusion that arises whe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rality; critically develops the perspectives of prior researches on the evolutionary and cognitive foundations of religion and morality; and proposes a hypothetical explanatory model that includes considerations of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the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ories, and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to analyze religious morality issues in pandemic situations. According to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moral judgment is caused by five psychological mechanisms based on different evolutionary adaptation problems. The standard model of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ory maintains that the various phenomena we target into the category ‘religion’ are the byproducts of various adaptations i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human species. MFT and CSR’s theor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break down and present the evolutionary cognitive foundation of morality and religion into multiple analytical subunits.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s a form of alerting device that avoids potentially infectious or contaminated objects, and its effects appear as disgust in the domain of emotion and as avoidance in the domain of action. In the Pandemic situation,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s excessively activated, which makes it easy to strengthen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race, region, origin, religion, and sexual orientation. This paper envisioned an explanatory model of religious morality in which the above two theories and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is work is a developmental succession of McKay and Whitehouse’s research in that it properly subdivides the components of religion and morality into scientific analytic units wher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The study also has theoretical novelty in that it incorporates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nto the model as a cognitive ecological factor of the Pandemic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