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사람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질 변화, 불안 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심리적 변인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매개변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 해,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코로나-19로 인한 삶의 질 변화, 불안의 관계를 지각된 상황 통제감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300명의 성인들을 모집하였으 며 성별은 남성 148명(49.3%), 여성 152(50.7%), 평균 연령은 40.77세(SD=9.69)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모형은 자 료를 적합하게 설명하였으며, 지각된 상황 통제감에서 코로나-19 불안으로 가는 직접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 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은 지각된 상황 통제감을 낮추고, 삶의 질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코로나-19 불안을 높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 움과 삶의 질 변화, 코로나-19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상황 통제감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 및 상담실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fear of social stigma perception, effect of quality of life change, and COVID-19 anxiety. For this purpose, we set up the model mediated by perceived situation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among fear of social stigma, quality of life change, and COVID-19 anxiety and examined the relevance of the model to each variable. A convenience sample of 300 adults were recru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ta of the participants were properly explained, and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perceived situational control to COVID-19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situational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perception, effect of quality of life change, and COVID-19 anxiety.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ory and counseling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