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쟁기 북한군포로수용소에 억류, 감금되었던 유엔군포로수기를 중심으로 집단기억의 이데올로기를 논의하였다. 유엔군 포로수기는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화된 시각을 견지하면서 자국의 참전에 대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가장 넓은 퍼스펙티브를 갖는다. 수기는 북한포로수용소 내의 이데올로기적 투쟁과정과 이와 결부된 전향과 세뇌, 고문의 폭력성을 기록함으로써 아시아 냉전체제가 갖는 긴장과 오리엔탈 코뮤니즘의 실체를 보여준다. 미 24사단장 윌리엄 F. 딘의 수기는 아시아 냉전의 패권을 선점하기 위한 구도로 한국전쟁을 인식하고 있고,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의 연장에서 세계 경찰로서의 미국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딘은 공산주의에 대항해 희생을 감내하는 숭고한 가부장의 자기표상을 구축하며 한국인들에게 심리적 공동체라는 일체감을 갖게 했다. 안소니 파라 호커리의 수기는 자유주의 이념을 수호하는 ‘성스런 성전’으로 한국전쟁을 전치시키며 영국의 애국주의 전파를 위한 영웅전기의 집단기억을 구성한다. 이 두 수기는 공통적으로 미,소 냉전 체제의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오리엔탈 코뮤니즘에 대한 적대감을 전면화하지만 한국의 신생국가로서의 민족적 개별성은 은폐하고 있다. 수기는 전통주의에 기반 한 전쟁기원론에 대한 부가 텍스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국의 공적기억으로서의 전쟁서사만을 구축하고 있다. 유엔군 포로수기는 결과적으로 전쟁 기억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영속하고자 했던 미, 영 자국의 미디어 정치의 일부로서 생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전쟁의 비극이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세계사적 문제임을 주지시키고자 한 반공국가 기획 안에서 번역, 출간되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deology of collective memory, focusing on the memoirs of the United Nations Force prisoners of war(POWs), especially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o were detained and imprisoned in North Korean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The memoirs of the UN Force POWs have the broadest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n that they reveal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ir own countrie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while maintaining internationalized perspectives. William F. Dean, commanding general of the 24th Infantry Division of the US Army, politicizes his memoir, recognizing the Korean War as a preemptive drive to acquire hegemony during the Cold War in East Asia, maintaining the view of the American national identity as the “global police” in an extension of their victory after World War II. Dean describes the POW camp as a battlefield where the “self” confronts its enemies, constructing an image of a noble patriarch who endures sacrifices. The memoir of Gloucestershire Regiment General Sir Anthony Heritage Farrar-Hockley archives the heroic myths of the British Army, holding on to its identity as “Cold War warriors” who endured the torture and pain of indoctrination in defense of liberal beliefs. Oriental Communists are described as natives with evil attributes who exposed their racist prejudices with grotesque iconography. However, in depicting the Korean War under the Cold War system, these memoirs do not contain references to Korea’s national division or localistic distinctiveness. The newly born nation of Korea is represented as a shadow created to substitute for their national memories of the US and the UK. These memoirs are being read within the frame of anti-Communist nations’ plan to address the fact that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was not limited to the Korean Peninsula, but can be extended as an historical event affecting the whole world, including Europe and the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