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소재 중, 고등학교 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가족건강성,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Hayes의 PROCESS macro 3.5.3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family healthiness and resilience up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For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563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ir family healthiness,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respondents, SPSS 21.0 and Hayes Process Macro 3.5.3 have been emplo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family healthiness has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dolescents’ resilience has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dolescents’ resilience appeared to have serv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health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have been discuss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dolescents, Family Healthiness,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