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지배에 관한 많은 사회과학 연구들은 강제와 정당성을 중심으로 피지배자들의 복종이나 순응을 이끌어내는 권력의 작동양식에 접근해왔다. 그러나 대부분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기보다 둘 중 하나를 강조함으로써 갈등론과 합의론이라는 이원론적 논쟁으로 이어졌다. 각각의 접근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경험적으로 유효하지만, 자발적 순응을 이끌어내는 지배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둘 중 하나를 강조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이 연구는 강제와 정당화라는 권력의 두 주요 작동양식 간의 관계를 특징짓는 요소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문제제기 차원에서 사회질서를 설명하는 기존 시각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권력과 지배 개념에 대한 베버의 정의를 둘러싼 양분된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행위자의 관점에서 복종의 동기들은 복잡하게 뒤섞여 있으며, 복종의지는 역설적으로 권력의지와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들에 기초하여 강제와 정당화의 관계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적인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그것은 상호배타적이거나 ‘제로섬’ 관계가 아니라, 일정한 균형이 요구되는 상호의존적이고 역동적인 조합이다.


When approaching the modus operandi of the power inducing obedience and/or compliance, many studies of social science so far have focused on coercion and legitimacy. Nonetheless, instead of finding the linkage between the coercion and the legitimacy, most of these studies emphasize on either one of them, and it leads to dichotomic controversies between conflict theory and consensus theory. Each approach is empirically valid to a limited extent, however focusing only on either one of them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chanism of domination that induces voluntary compliance. This study theoretically inquires into the factors characterizing the corel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the core modes of dominant power. First of all, it critically reviews preexisting perspectives, which explain social order, as well as divided interpretations surrounding Weber's definition on power and domination at the conceptual level.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s, it discusses that the motives of obedience ar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the will to obey is, ironically, connected to the will to power. Lastly,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it derives key distinctive factors in the corel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They are neither exclusive nor zero-sum relationship, but are interdependent and dynamic combination which requires a certain degree of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