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성과(조직)공정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동료효과(peer effect)를 고려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과공정성에 대한 동료효과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또한 직무자율성이 조절효과로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공공부문에서 민간근무경력자들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민간경력 근무경력 보유 유무(sector switchers)에 따라 이런 분석결과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추가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본인이 속한 과/팀의 동료성과보다 본인의 성과가 더 높다고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이런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변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조절효과는 민간근무경력을 보유한 응답자들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결과는 성과관리에서 동료효과의 고려와 함께 최근 증가하는 공직의 민간경력 근무자들에 대한 인사관리 측면에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c the associations between peer effects in performance achievements and job satisfaction. Our results show that peer effects has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autonomy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peer effects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we found on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respondents with private work experience.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suggest that a strategy to decrease the negative impacts from peer effects in performance achievements, and research on performance managemen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