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거래적・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직급 및 관리자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거래적 리더십보다 직무만족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는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에 5급 이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는 부정적 영향을, 8급 이하 공무원에게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6급 이상 공무원에게만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5급을 기준으로 관리자와 비관리자 집단을 구분하여 관리자 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관리자 집단(2급∼4급)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비관리자 집단(5급∼9급)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관리자와 비관리자 집단 모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상위직급(2급∼4급) 공무원에게는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하위직급(8∼9급)에게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다.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모든 직급의 공무원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상위직급일수록 리더십 효과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직급에 따른 리더십 유형의 선별적 적용 및 조직 내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의 병행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grade and managers vs non-managers. The results show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grade,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Grade 5 or higher and a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officials below Grade 8 where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officials of Grade 6 or higher.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rs vs non-managers,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negative influence on managers’ group(Grade 2-4) and an insignificant influence on non-managers’ group(Grade 5-9).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managers’ and non-managers’ groups. In sum,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higher grade(Grade 2-4) and a positive effect on public officials in lower grade(Grade 8-9). In contrast, transformation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all grades, and the higher grades, the greater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Thes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selectively apply leadership styles according to job grade and to exercise a combination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