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has been re-examined as the number of citizens visiting parks and green spaces has increas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hich helped minimize the revenue loss to nearby commercial districts.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effects of park characteristics on the profits and losses of alley market districts using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Neighborhood and children's parks within 743 alley market districts in Seoul, Korea, are assess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ales between the second quarter of 2019 and 2020.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parks within a 350 m radius of a commercial district, as well as the visual features of those park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sales difference, while higher counts of park convenience-related facilities have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alley market districts' pre- and post-pandemic sales. The regression analysis further identifies the impacts of other contextual characteristics (commercial, population, and accessibility) on the district's overall difference in sales.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ontactless culture and the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provided economic benefits to businesses within the alley market distric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park features nearby commercial districts to attenuate sales damage from a new disaster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maintain a strong and long-term linkage with adjacent commercial area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오프라인 공간의 마비는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코로나블루 극복을 위한 시민들의 공원 방문이 증가하면서 인근 상권의 매출 피해가 최소화되어 도시공원의 중요성이 재조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골목상권의 매출 차이에 대해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한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상권 인근 공원 정책의 방향 시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2019~2020년 2분기의 서울시 743개 골목상권과 근린공원 및 어린이공원이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상권의 350m 반경 내 공원의 수와 공원의 시각적 특성은 매출 차이와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공원 내 편의시설의 수는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밖에 회귀분석을 통해 공원 특성 외 상권, 인구, 접근성 특성이 상권 내 매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파악되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의 언택트 문화 확산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골목상권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는 데에 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재난에 의한 골목상권의 매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향후 상권 인근의 공원 조성과 정비에 있어서 다수의 공원 조성과 시각적 요소의 충분한 도입을 통한 주변 상권과의 연계성 유지가 중요함을 규명하였다는 정책적 함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