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어떤 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정책수혜자들이 해당 정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른 행동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저출산 대응 정책을 15년 넘게 시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 때는 108.4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투입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책은 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일까? 정책수혜자들은 저출산 대응 정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기에 이들의 출산행위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일까?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기혼 여성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해당 정책의 가장 직접적 정책 수혜자들의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만 0~8세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에 대한 이들의 인식차이 비교분석을 통해 첫째, 지금까지의 저출산 정책을 평가해보고 둘째, 이들의 정책적 니즈(needs)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정책수혜자들의 인식을 이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책내용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들의 인식유형은 1) 출산 의지형, 2) 자아실현 중시형, 3) 저출산 정책 비판형, 4) 출산 거부형으로 밝혀졌다. ‘출산’의 직접적 행위자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출산 의지형’ 또는 ‘출산 거부형’처럼 다소 극단적인 유형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유형은 오늘날 출산 행위에 대한 여성들의 현실을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An effective policy should encourage policy beneficiaries to change behaviors in the ways that policymakers have intended, leading to socially desirable outcomes. Even thoug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series of policies to address the low fertility over the past 15 years, South Korea’s Total Fertility Rate (TFR) reached a record low of 0.84 in 2020. We thus need to ask why these policies appear to have limited effects despite policy execution supported by a massive budget totaling 108.4 trillion won (approximately 934 billion USD). It is also important to determine how the policy beneficiaries think about the current policy regarding low fertility, including why more and more women in Korea are deciding to not have children. This paper used Q-methodology to examine differences in Korean women’s percep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the low birth rate. In this study, we surveyed married women who have a child between 0 to 8 years old. We examined differences in how they perceive the 3rd National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2016-2020). This analysis of subjective perception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policy responses and understanding different policy demands. This paper will also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benefits afforded by the policy through delineating the various perceptions associated with the policy beneficiaries. The results have revealed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perception types held by the policy beneficiaries: Factor 1: a high willingness to have children; Factor 2: a desired for self-actualization; Factor 3: critics of the policy reponses to the low birth rate; Factor 4: a willful refusal to have children. Factor 1 and Factor 4 are two particularly salient factors that are strong indications of ambivalent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that married women have been experiencing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