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에도시대 작가들은 작품 집필에 따른 대가로 경제 활동을 영위하기보다는 부업을 통한 수입으로 생활하였다. 문학사적으로 게사쿠샤로 불리는 당시 작가들은 겸업과 부업을 하며 작품을 생산하는 동시에 상품을 팔기도 하였다. 그들에게 문학 작품은 자신의 문학적 창조물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상품이었던 것이다. 또한 그다지 많지 않았던 원고료로 인하여 그들에게 겸업과 부업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게사쿠샤들은 부업으로 약이나 화장품을 서적에 광고하며 실제 판매하기도 했다. 결국 수입을 얻기 위해 작가 이외의 겸업이나 부업을 해야만 하는 경제적인 논리를 따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작가들뿐만 아니라 지배계층인 무사들에게도 마찬가지로 부업으로 데라코야를 경영하거나 지역 특산품을 팔거나 했다. 주로 하급무사들이 부업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였으나 농민들 역시 쌀값 하락 등의 이유로 상품을 만들거나 팔며 겸업을 했다. 에도시대는 시장 경제와 유통이 발전하며 부업을 통한 이익 추구는 전 계층에서 일어난 일반적인 사회적 현상이었다.


In the Edo period, writers lived on side jobs rather than conducting economic activities in return for their work. Writers at that time, called Gesakusha in literary history, were engaged in both double-tasking and side-tasking, producing works and selling goods at the same time. For them, literary works were their own literary creations. However, conversely, they were also commodities. Additionally, because the manuscript fee was not high, it was a fact of life for them to co-operate and sideline. Thus, most Gesakusha sold drugs and cosmetics on the side and advertised them in books. Eventually, they followed the economic logic of holding a double or side job besides writing to earn their income. This situation held not only for writers but also for the ruling warriors, who might have run terakoya (“temple schools”) or sold local specialties as a side job. Although lower-level officials mainly sought economic benefits through side jobs, farmers also worked concurrently by making or selling products.


江戸時代の作家たちは作品執筆の対価として経済活動を営むよりは、副業による収入で生活した。文学史的に「ゲサクシャ」と呼ばれる当時の作家たちは兼業と副業をしながら作品を生産すると同時に商品を売ったりもした。 彼らにとって文学作品は自分の文学的創造物でもあったが、一方では商品だったのだ。また、それほど多くなかった原稿料のため、彼らに兼業と副業はやむを得ない現実だった。そして、ほとんどのゲサクシャは副業として薬や化粧品を書籍に広告し、実際に販売したりもした。結局、収入を得るために作家以外の兼業や副業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経済的な論理に従うようになった。こうした状況は、作家だけでなく支配階層の武士にも同様に副業として寺子屋を経営したり、地域特産品を売ったりした。主に下級武士たちが副業を通じた経済的利益を追求したが、農民たちも米価下落などの理由で商品を作ったり、売ったりしながら兼業をした。江戸時代は市場経済と流通が発展し、副業を通じた利益の追求は全階層で起きた一般的な社会的現象だっ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