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관광 100선’ 사업을 통한 국내 관광자원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정된 관광자원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이 지속적으로 선정되는 관광자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나머지 지역은 선정 회차에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19개소의 5회 연속 선정 자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관광지, 국립공원 등에 해당하며 명실상부한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의 가치를 지니는 곳으로 판단된다. 4회와 3회에 걸쳐 선정된 관광자원을 통해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의 성격이 기존의 전통적인 자연, 문화 관광자원에서 영역을 사회, 위락 관광자원으로 확대해 나아가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회차 신규 선정 자원에서는 주요 시장과 거리 등이 포함되었으며 3회차 신규 선정 자원에서는 테마파크와 마을 단위 관광자원, 지역의 전통시장이 상업 관광자원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회차에서는 도보 관광자원과 적극적인 야외 활동을 수반하는 관광자원이 다수 선정되었다. 5회차에는 코로나19 상황속에서 활용 가능한 관광자원으로 자연 경관 또는 야외 시설이나 저밀도 실내 관람 시설이 주로 선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domestic tourism resources through the ‘100 Best Korean Tourism’ project. Looking at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selected tourism resources, the number of tourism resources selected continuously in the metropolitan area tends to increase, and the remaining regions repeat an increase and a decrease according to the selection cycle. The 19 resources selected for five consecutive times correspond t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ourist destinations, and National Parks, and are judged to have the value of tourism resources representing Korea in name and reality. Through the tourism resources selected 4 and 3 tim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representing a tendency to expand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natural and cultural tourism resources to social and recreational tourism resources. In the second newly selected resource, major markets and streets were included, and in the third newly selected resource, theme parks, village-level tourism resources, and local traditional markets showed potential as commercial tourism resources. In the 4th round, many tourism resources accompanied by walking tourism resources and active outdoor activities were selected. In the 5th round, natural scenery, outdoor facilities, or low-density indoor viewing facilities were mainly selected as tourism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the context of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