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산광역시 미세먼지 농도는 봄철을 중심으로 지난 15년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도시 내부의 국지적인 환경 특성에 따른 농도 분포의 차별성은 지속되고 있다. 공단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역 등 다양한 도시 조건에 따라 지점별로 평균농도 수준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 확인되었고, 전반적으로 오전의 미세먼지 농도는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오후 시간대의 감소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대칭적 일주기 특징이 나타났다. 요일과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에 기반한 군집분석 결과, 전체 관측 지점들은 지점별 농도 범위에 따라 4개의 주요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공업 또는 농업지역 특성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가장 높은 미세먼지 농도가 관측되었고, 다른 지역에 비해 농도 증가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일최고농도 발생 시점도 앞당겨지는 경향을 보였다. 산업별 업종, 녹지 분포, 1차 및 2차 오염물질의 비중과 같은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 요인의 국지적 분포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대기질 개선의 구체적인 방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While PM10 concentra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ve decreased over the past 15 years, their intra-city variations still persist due to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verage PM10 level spatially varies depending on various urban conditions such as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Asymmetric daily cycles were observed in PM10 concentrations, where PM10 levels increased rapidly in the morning hours, but the rate of decrease in the afternoon hours was relatively lower throughout the city.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aily and weekly PM10 data showed that the city’s air-quality monitoring points were divided into four main clusters caused primarily by their PM10 levels. The highest PM10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the industrial or agricultural cluster, where PM10 concentrations increased faster in the morning, and the daily peak concentration occurred earlier than the other sites. The city’s specific strategies for air-quality improvement may be established when the spatially varying contributing factors on PM10 levels such as the type of industrial sectors, green space distributions, propor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pollutants are further evaluated at the loc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