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양상을 분석하여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인구 변화를 162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기별로 고성장, 저성장, 절대감소로 구분하고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의 지속적 성장과 비수도권의 지속적 감소가 나타났고, 특히 서울~세종에 이르는 성장의 일극화가 강화되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농촌지역과 중소도시 뿐 아니라 대도시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의 출산 지원과 동시에 이들이 지방에서 거주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혼인, 일자리와 소득, 주거 안정성, 교육 및 문화적 격차 등 출산에 영향을 주는 생애주기 주요 사건에서 지역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by analyzing the regional disparities in population change and urban decline. Population changes of 162 cities and coun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by categorizing into high growth, low growth, and absolute decline in three peri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apital region and the continuous decrease of the non-Capital region were found, and the growth unipolarization from Seoul to Sejong was especially strengthened. In non-Capital region, the decline of large cities as well as rural area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s progressing.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childbirth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make them live well in non-Capital regions at the same time. This requires closing regional disparities in key life-cycle events that affect the decisions to bear children in younger generations, such as marriage, job and income, housing stability, educational and cultural disparities.